반도체 Energy Band, Band Gap
에너지 준위(Energy Level): 원자핵의 주위를 회전하고 있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 순위, 원자핵에서부터 전자가 멀리 있을수록 큼
구성
가전자대: Valance Band, 최외각 전자가 채워져 있는 아랫부분
전도대: Conduction Band, 최외각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올라갈 수 있는 전자가 채워져 있지 않은 윗부분
에너지 갭(Band Gap): 전도대와 가전자대 사이를 의미 (단위 eV)
준위에 따른 구분
1)부도체, 절연체(Insulator): Energy Gap이 3eV이상, Valence Band의 전자가 Conduction Band로 올라가지 못함.
2)반도체(Semi-Conductor): Energy Gap이 0.1eV~3eV, 평소엔 부도체, 에너지가 있다면 Valence Band에서 Conduction Band로 올라갈 수 있음.
3)도체(Conductor): Energy Gap이 매우 작거나 없음, Valence Band와 Conduction Band 겹쳐져 있는 상태(Overlap)
파울리 배타원리: 동일한 양자상태는 불가능. 즉, 스핀 업과 다운이 있으며 같은 회전 방향은 가질 수 없음. 에너지 준위 기본 조건
페르미 준위(Fermi Level): 0K에서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에너지 준위.( )
=임의의 온도 T에서 전자가 채워질 확률이 1/2인 에너지 준위
평형 상태에서 페르미 준위는 일치함. (+) Bias가 인가되면 밴드가 내려 감.
Homo, Hetero Junction
Homo junction: 동종 접합, BandGap이 동일 하지만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영역의 접합, 공정변수를 통해 인위적으로 Interface 특성제어,
Depletion 영역은 도핑 농도가 작은 쪽으로 더 넓게 형성. 주로 기판의 농도가 작기 때문에 기판 쪽으로 더욱 확장.
(Ex) PN Junction, MOSFET의 Horizontal Profile)
-MOSFET 기본 구조 중 NMOS
Source와 Drain은 N Type 도핑, Sub은 P Type 도핑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합 부분에서 특정 작용이 발생
Bandgap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판의 페르미 레벨이 Source와 Drain의 페르미 레벨 차이가 작기 때문에 N type 도핑이 더욱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음.
Junction Band를 그리기 위해서는 페르미 레벨을 일치시켜줘야 함.
일치된 페르미 레벨에서 각 영역의 가전자대와 전도대를 연속적으로 이어줘야 함.
이때, P type의 도핑 농도가 낮기 때문에 기판 쪽으로 Depletion 영역이 더욱 큼.
따라서 중앙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의 넓이가 더욱 커짐.
(곡선 부분이 각 접합의 Depletion 영역을 나타냄-전계가 형성되어 있음)
이는 Short Channel Effect가 왜 접합부위에서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음.
바이어스가 없던 상태에서 N type Drain 쪽에 (+) Bias를 걸어주게 되면 밴드가 아래로 내려감.
그러면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매우 커지게 되면서 전자가 넘지 못했던 Barrier를 낮추게 되어 전류 흐름
SCE 참고. (DIBL)
Hetero Junction: 이종 접합, 각 소재 특성에 따라 Interface 특성이 달라짐. Band Gap이 서로 다름!
(Ex) Thin Film을 Channel로 하는 TFT, Buffer Layer, MOSFET의 Gate, Source, Drain 등의 Vertical Profile)
Band Diagram 그리는 방법 – Isotype의 경우
1. Isotype (같은 도핑 Carrier 접합 – n+/n-, p+/p-),
Anisotype (다른 도핑 Carrier 접합 – n+/p-, n-/p+, p+/n-, p-/n+) 구분
2. X1, X2길이 비교
좌측 물질의 Valance Band와 Fermi Level 거리가 X1,
우측 물질의 Conduction Band와 Fermi Leve의 거리가 X2
3. Overlay 구성 확인: X1>X2일 경우 좌측 물질 위쪽이 Overlay,
X1<X2일 경우 좌측 물질 아래쪽이 Overlay (Potential 우물, 양자 우물, Quantum Well)
4. 페르미 레벨 일치하도록 이동
5. 불연속점이 있음. 이때 Energy Offset은 ∆Ec=2/3∆Eg, ∆Ev=1/3∆Eg로 정의
6. Depletion 영역을 농도에 따라 고려
7. Offset 표현
(접합 위쪽 뾰족한 부분이Overlay)
-분석
Interface에서 Bias가 없을 경우 Overlay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지 못하고 축적(Potential Barrier). 정공은 쉽게 이동하여 전류를 형성할 수 있음.
이는 Homo와 다르게 Ion imp. 공정을 통한 Doping없이도 Carrier를 주입 가능.
+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소자
Buffer Layer 위에 Epitaxy Layer를 형성했을 때 Doping을 하지 않아도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100%인 소자.
하나는 높은 도핑(AlGaAs)-BandGap 큼, 하나는 도핑 없음(GaAs)-BandGap 작음
MOSFET보다 빠르고 적은 전력 사용량.
노이즈가 적음. Donor에 의한 Scattering이 없기 때문에 Mobility가 높음
이를 활용하여 고속 소자를 구현한다는 것 (2차원 전자 가스, 2DEG)
높은 Off Leakage, 공정 난이도 높음, 기생 저항
++PHEMT (Pseudomorph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 HEMT 단점 개선
초고속이 요구되는 고속 아날로그 및 디지털 IC, 무선 통신, MMIC, LNA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
두 이형 물질 간의 격자상수가 다르기 때문에 결함이 발생(Deep Level Trap - Recombination으로 효율 감소)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료 중 하나를 매우 얇은 층으로 사용하는 것. 이는 Bandgap이 더욱 크게 차이 나게 할 수 있음.
추가로 MHEMT(Metamorphic HEMT)는 Buffer Layer를 추가하는 것이고,
재료에 따라 EHEMT (Enhancement HEMT-AlGaAs/GaAs) – DHEMT (depletion HEMT-AlGaN/GaN) 로 구분되기도 함
++Anisotype의 경우
'반도체 > Wafer 및 소자(Device)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OS] CMOS, 유전체, 유전률 (0) | 2024.09.02 |
---|---|
[Short Channel Effect] Short Channel Effect, SCEs (0) | 2024.09.02 |
[Junction] Ohmic과 Schottky 접합 (0) | 2024.09.02 |
[Wafer 공정] Wafer 준비 - 쵸크랄스키 방법, Ingot, OHT (0) | 2024.07.02 |
[수율] 수율이란? (0) | 2024.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