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Wafer 및 소자(Device) 기초

[Energy Band] Energy Band와 Band Gap

programmer-coldbrew 2024. 8. 29. 23:29

반도체 Energy Band, Band Gap

에너지 준위(Energy Level): 원자핵의 주위를 회전하고 있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 순위, 원자핵에서부터 전자가 멀리 있을수록 큼

구성

가전자대: Valance Band, 최외각 전자가 채워져 있는 아랫부분

전도대: Conduction Band, 최외각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올라갈 수 있는 전자가 채워져 있지 않은 윗부분

에너지 갭(Band Gap): 전도대와 가전자대 사이를 의미 (단위 eV)

준위에 따른 구분

1)부도체, 절연체(Insulator): Energy Gap 3eV이상, Valence Band의 전자가 Conduction Band로 올라가지 못함. 

2)반도체(Semi-Conductor): Energy Gap 0.1eV~3eV, 평소엔 부도체, 에너지가 있다면 Valence Band에서 Conduction Band로 올라갈 수 있음.

3)도체(Conductor): Energy Gap이 매우 작거나 없음, Valence Band Conduction Band 겹쳐져 있는 상태(Overlap)

준위에 따른 구분

 

파울리 배타원리: 동일한 양자상태는 불가능. , 스핀 업과 다운이 있으며 같은 회전 방향은 가질 수 없음. 에너지 준위 기본 조건

 

페르미 준위(Fermi Level): 0K에서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에너지 준위.( )

=임의의 온도 T에서 전자가 채워질 확률이 1/2인 에너지 준위

평형 상태에서 페르미 준위는 일치함. (+) Bias가 인가되면 밴드가 내려 감.

페르미 준위(Fermi Level)

 

Homo, Hetero Junction

Homo junction: 동종 접합, BandGap이 동일 하지만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영역의 접합, 공정변수를 통해 인위적으로 Interface 특성제어,

Depletion 영역은 도핑 농도가 작은 쪽으로 더 넓게 형성. 주로 기판의 농도가 작기 때문에 기판 쪽으로 더욱 확장.

(Ex) PN Junction, MOSFETHorizontal Profile)

-MOSFET 기본 구조 중 NMOS

SourceDrainN Type 도핑, SubP Type 도핑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합 부분에서 특정 작용이 발생

 

Bandgap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판의 페르미 레벨이 SourceDrain의 페르미 레벨 차이가 작기 때문에 N type 도핑이 더욱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음.

Junction Band를 그리기 위해서는 페르미 레벨을 일치시켜줘야 함.

일치된 페르미 레벨에서 각 영역의 가전자대와 전도대를 연속적으로 이어줘야 함.

이때, P type의 도핑 농도가 낮기 때문에 기판 쪽으로 Depletion 영역이 더욱 큼.

따라서 중앙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의 넓이가 더욱 커짐.

(곡선 부분이 각 접합의 Depletion 영역을 나타냄-전계가 형성되어 있음)

이는 Short Channel Effect가 왜 접합부위에서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음.

바이어스가 없던 상태에서 N type Drain 쪽에 (+) Bias를 걸어주게 되면 밴드가 아래로 내려감.

그러면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매우 커지게 되면서 전자가 넘지 못했던 Barrier를 낮추게 되어 전류 흐름

SCE 참고. (DIBL)

 

Hetero Junction: 이종 접합, 각 소재 특성에 따라 Interface 특성이 달라짐. Band Gap이 서로 다름!

(Ex) Thin FilmChannel로 하는 TFT, Buffer Layer, MOSFET Gate, Source, Drain 등의 Vertical Profile)

Band Diagram 그리는 방법 – Isotype의 경우

1. Isotype (같은 도핑 Carrier 접합 – n+/n-, p+/p-),

Anisotype (다른 도핑 Carrier 접합 – n+/p-, n-/p+, p+/n-, p-/n+) 구분

2. X1, X2길이 비교

좌측 물질의 Valance BandFermi Level 거리가 X1,

우측 물질의 Conduction BandFermi Leve의 거리가 X2

3. Overlay 구성 확인: X1>X2일 경우 좌측 물질 위쪽이 Overlay,

X1<X2일 경우 좌측 물질 아래쪽이 Overlay (Potential 우물, 양자 우물, Quantum Well)

1, 2, 3 단계

4. 페르미 레벨 일치하도록 이동

 

4단계

5. 불연속점이 있음. 이때 Energy OffsetEc=2/3Eg, Ev=1/3Eg로 정의

6. Depletion 영역을 농도에 따라 고려

7. Offset 표현

 (접합 위쪽 뾰족한 부분이Overlay)

 

5, 6, 7 단계

-분석

Interface에서 Bias가 없을 경우 Overlay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지 못하고 축적(Potential Barrier). 정공은 쉽게 이동하여 전류를 형성할 수 있음.

이는 Homo와 다르게 Ion imp. 공정을 통한 Doping없이도 Carrier를 주입 가능.

분석

 

+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소자

Buffer Layer 위에 Epitaxy Layer를 형성했을 때 Doping을 하지 않아도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100%인 소자.

하나는 높은 도핑(AlGaAs)-BandGap , 하나는 도핑 없음(GaAs)-BandGap 작음

MOSFET보다 빠르고 적은 전력 사용량.

노이즈가 적음. Donor에 의한 Scattering이 없기 때문에 Mobility가 높음

이를 활용하여 고속 소자를 구현한다는 것 (2차원 전자 가스, 2DEG)

높은 Off Leakage, 공정 난이도 높음, 기생 저항  

HEMT

++PHEMT (Pseudomorph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 HEMT 단점 개선

초고속이 요구되는 고속 아날로그 및 디지털 IC, 무선 통신, MMIC, LNA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

두 이형 물질 간의 격자상수가 다르기 때문에 결함이 발생(Deep Level Trap - Recombination으로 효율 감소)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료 중 하나를 매우 얇은 층으로 사용하는 것. 이는 Bandgap이 더욱 크게 차이 나게 할 수 있음.

추가로 MHEMT(Metamorphic HEMT)Buffer Layer를 추가하는 것이고,

재료에 따라 EHEMT (Enhancement HEMT-AlGaAs/GaAs) – DHEMT (depletion HEMT-AlGaN/GaN) 로 구분되기도 함

++Anisotype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