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노광 공정 (포토 공정, Photolithography)

[포토 공정] 포토공정. 패턴 형성 첫번째 과정 - Alignment & Exposure

programmer-coldbrew 2024. 8. 29. 22:38

이전 단계: https://programmer-coldbrew.tistory.com/15

 

[포토 공정] 포토공정. 패턴 형성 첫번째 과정 - HMDS 도포, PR Coating, Soft Bake

Photolithography Progress +++ 공정 조건: Clean Room(100/ft3 이하의 청결도) + Yellow Light(영향이 제일 적은 광원) 1.   HMDS 도포(Wafer Priming) (HMDS-hexa methy ldi sil azane: 6 CH3 2 Si NH)친수성인 Wafer를 소수성으로 바

programmer-coldbrew.tistory.com

 

4.   Alignment & Exposure

Alignment: Mask의 위치를 정확하게 두는 과정

Alignment Error (Overlay Error)

-Shift Error: Mask가 어긋남                                 

-Rotation Error: Mask가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

-Scale Error: Pattern 크기 오류                              

-Wafer Rotation: Mask가 아닌 Wafer가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

 

Exposure: Mask의 있는 Pattern Wafer위로 Transfer하는 단계. (패턴 형성)

Overexposure Pattern이 작아지고, UnderexposurePattern이 커짐 (CD 값으로 확인!)

->Exposure Latitude (EL, CD의 변화정도가 허용되는 Exposure Dose 범위) 척도 확인 필요!

이 결과는 PR 선정평가에도 사용.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다른 광원 사용(장비) – Projection Exposure 방식에서만 사용!

-Aligner: 1:1, 매우 빨라 생산량 우수. Uniformity가 나빠 수율이 낮음. Contact, Proximity 방식 사용

-Stepper: Mask 전체를 축소해서 하나의 field한 번에 찍어내고, 다음 field로 이동하는 장비. 빠르나 Edge에서 왜곡(Distortion)이나 수차(Aberrations) 발생 -> 현재 거의 사용하지 않음, N:1

G-line: 436nm(0.8), I-line: 365nm(0.3) - Hg Lamp

+수차(Aberrations): 빛의 상이 한 점이 아니라 여러 곳에 흩어져 번지는 현상. (상 번짐)

-Scanner(Deep UV, DUV): Stepper step 방식에 scan 방식을 추가한 도구, Reticle Die를 이동시키며 진행. Lens에서 빛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는 부분만 사용. 그림 그리듯 한줄씩 패턴을 형성해 느림. 전용 화학 증폭형 DUV Resist 사용.

WaferScanner의 이동 방향은 반대, N:1

ArF: 193nm(90nm 이하), KrF: 248nm(90nm 이상) – Excimer Laser

Stepper와 Scanner의 구동 방식
Stepper
Scanner

+Scanner 사용의 장점

Lens의 성능 증가, 수율 증가, Better CD Control, Distortion 감소. 미세화, 정밀도, 오버레이의 정확성이 모두 Stepper보다 좋음. 수차 작음

+CD(Critical Dimension): 수율에 영향을 주는 Pattern의 크기(목표값), 가장 작은 선폭, 작을수록 이익

+Light Intensity (mW/cm2) × Time(s) = Exposure Dose Energy (mJ/cm2)

 

Exposure 방법

-Contact: (거리 거의 0) 높은 해상도, 저렴, 1:1

오염에 쉽게 노출- Mask 손상 위험 커 수명이 짧음, 패턴 구현이 쉬움,

-Proximity: (10마이크로), 오염에 강함, 1:1

해상도가 낮음- Diffraction이 발생해 패턴 구현이 어려움

-projection: Projection lens - Condenser lens(빛을 모음)/Projection Lens(초점으로 모음) 높은 해상도, 낮은 오염도, 가격 비쌈(초기 자본, 이후 대량 생산에 효율적), 어려움, 1:4~1:5, Mask 대신 Reticle이라는 말을 사용. 높은 속도 (칩의 크기가 작고 병렬 처리가 가능)

수율이 낮음. (조절이 어렵고, 유지보수가 매우 중요하며 빛의 특성 관리 및 환경제어 어려움)

Exposure  방법

 

 

Diffraction(회절) 현상 빛이 휘는 현상

미세화(Scaling Down)로 인해 빛의 파장이 Feature Size(Slit)와 비슷하게 짧아지면서 Diffraction 발생.
구멍(Slit)이 작을수록 Diffraction이 커짐. 이는 패턴의 왜곡 발생(해상도(Resolution) 문제 발생)
-
미세화(Scaling Down)은 말 그대로 Pitch를 줄이는 것

(Pitch = Line + Space, 반복되는 패턴과 패턴사이의 기본 간격), 그 결과 단가 감소!

+Aspect Ratio(Height/Line): 너무 크면 공정이 어렵다. (바늘 세우기> 책 세우기)

Diffraction

 

 

해상도(R, Resolution)와 초점심도(DOF, Depth of Focus)

-해상도(=Pitch): 두 점을 찍었을 때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 Lens가 클수록, 파장이 짧을수록(단파장), 값이 작을수록 좋음.

 (Rayleigh 1st Criteria). Generally Resolution은 파장의 절반 값. EUV일 경우 13.5/2nm = 6.75nm = EUV의 목표 Pitch

-초점심도(=수직공정마진)는 렌즈가 초점이 맞은 상태로 선명하게 볼 수 있는 범위의 여유분, 해상도와 정반대.

Lens가 작을수록 파장이 클수록 좋음. 클수록 패턴 형성이 쉽고 공정마진이 좋음. 범위가 넓으면 조정이 유리. .

Defocus: 패턴이 Define 되지 않음. ->CMP BARC로 개선 가능 (패턴의 두께를 조정)

+Trade OFF 관계-하나가 좋아지면 연관된 하나는 나빠짐

Lens가 커지면 해상도는 좋아지지만 초점심도는 나빠지기 때문에 공정이 어려워지고, 공정 마진도 작아 짐.

공정계수는 너무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단파장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EUV 사용 이유)

+NA(Numerical Aperture): 렌즈의 크기, 렌즈가 Capture할 수 있는 최대 회절각, Mask의 회절광 Sin θ보다 커야 함. NA Ideal값은 1.

+조리개(Aperture) 렌즈를 가리는 부분인 조리개, 빛의 양과 모양을 조절함

+SMO(Source Mask Optimization) 빛이 조리개를 통과하고, Mask를 통과하면서 Wafer위에 패턴을 형성할 때 보다 정확하게 그릴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작업.

SMO(Source Mask Optimization)

 

 

해상도를 위한 공정 Low K1 Tech (광원 조절, Mask 조정)

+K: DPT기술에서 0.15~0.2, EUV에서 0.6. 패턴 복잡도와 해상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

작은 값을 가질수록 난이도가 어려움. 수치상으로 EUV 공정이 더 쉬움-미세 공정이 각광받고 있음

상수(K1, K2)는 장비와 기술에 따른 값

-OAI(Off Axis Illumination): 비 등축 조명. (On Axis Illumination: 직선으로 들어오는 빛 만을 이용)

Off-Axis란 직선으로 오지 않고 방향이 다른 광원을 의미.

기존 Mask의 크롬 경계면에서 발생한 회절 빛을 0, +1, -1차 경로라고 함

벗어난 빛(+-1)은 패턴에 입사되지 못해 패턴을 형성할 수 없었음. 하지만, OAI를 이용해 광원을 기울이면

+-1차항의 빛을 비스듬히 넣을 수 있어 집속해 상을 맺을 수 있게 해주어 고해상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 하지만 이때 광원이 유실되어 빛의 세기는 약해짐

조리개를 활용하여 둥근 형태의 빛을 Flex ray, Annular(환형) 같은 복잡한 빛을 만드는 방법도 사용.

그 이유는 외각으로 갈수록 패턴이 불균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함.

OAI(Off Axis Illumination)

-PSM(Phase Shift Mask): 위상 변조 마스크, 회절광을 없애는 방법.

위상을 조절하기 위해 Non-Chromic Part 추가(상쇄 간섭).

만들기 어렵고 비싸 잘 사용하지 않음.

PSM(Phase Shift Mask):

-OPC(Optical Proximity Correction): 광 보정법, 왜곡(Shrink, Rounding ) 예상지점의 Mask를 미리 변조해 사용. (Calibration, 교정)

Serif(없어지는 부분), Mouse Bite(꺾이는 부분 안쪽), Jogging(꺾이는 부분 바깥쪽), Hammer Head/Extension(끝부분 회절) 등이 있음.

OPC 전 Defect
OPC(Optical Proximity Correction)

 

 

 

-Immersion 공정 (액침노광) (ArF-Immersion: 193nm->134nm)

매질을 바꾸는 방법 중 하나로 DI Water를 이용한 Photo 공정. N(굴절률)이 약 1.44 (기본: 1)

이는 에서 의 값을 낮추고, 이에 따라 더 낮은 파장의 ArF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분해능이 좋아지고, DoF 여유도가 증가.

해상도와 초점심도 모두 좋아지고, 발생하는 열을 쉽게 식힐 수 있음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성, 오염위험(PR 등 첨가제가 용해), 기포로 인한 불량. 또한, 물에 흡수되는 빛 에너지가 있을 수 있음.

물 이외의 액체는 회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함.

-> 따라서 소수성 성질이 더욱 강화된 PR을 개발하거나, Topcoat 도입이 필요. (Topcoat: 물과 PR 사이에 상호작용을 막는 작업)

 

Immersion  공정 (액침노광) 의 빛의 방향 차이
Topcoat  의 위치

-Double Patterning Tech(DPT): 더블 패터닝 공정, 패턴의 밀도를 증가(K1값 감소).

LELE(Litho-Etch-Litho-Etch), LELE(Litho-Freeze-Litho-Etch), LLE, SADP(Self-aligned Double Pattern) 등이 있음. 장비 재사용 가능,

분해능 한계 돌파, 미세화 가능(액침노광보다 미세화). 빈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

-SADP (Self-aligned Double Pattern)

Spacer를 이용해 패턴을 작게 만듦. , Dummy pattern을 이용. 공정이 복잡함.

Spacer형성에는 Pattering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정 비용 개선 (삼성전자 10nm DRAM에 활용)

-Quadruple Patterning Tech (QPT): SADP를 두 번 진행. 초미세 패턴 구현가능.

하지만, 공정단계 증가로 원가가 증가해 미세화의 장점인 원가절감의 효과를 떨어트림.

초미세를 위해 EUV가 각광받고 있음. (2015년 삼성전자 7nm부터 EUV 사용)

++Pitch Walk

QPT 진행할 때 패턴이 균일하지 않게 되는 것. ALD 활용해 개선 가능

LELE와 SADP
멀티 패터닝 공정을 통한 공정 단계 차이